야외화장실, 이걸 사람들이 싫어하고 좋아하는 이유

제주도는 농업인들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농작업 현장에 '이동식 화장실'을 원조한다고 30일 밝혔다. 요번 산업은 농작업 현장에서 겪는 화장실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도 관계자는 “농작업 현장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먼거리 화장실을 찾아 헤매거나, 농경지 내에서 비위생적인 방식으로 극복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특이하게 가림시설이 없는 농경지의 경우 남성 농업인들은 난감한 상태을 겪고 있어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에 도는 농촌의 열악한 작업 배경을 개선하고 농업인들의 복지 향상과 생산성 증대를 목표로 농작업 현장 이동식 화장실 지원 사업을 제2회 추가경정예산에 적용했었다.

image

지원 대상은 도내에 거주하고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업인이다. 이 중 남성 농업인과 공동 사용 권장을 위해 여성 경영주, 남성 공동경영주, 다양한 농가 공동사용 목적으로 사업 요청 시 우선 참가한다.

지원단어는 이동식 화장실 건물, 악취 억제제, 운송비를 포함한 구입비의 50%를 http://www.bbc.co.uk/search?q=이동식화장실 지원하며, 산업량은 40곳이다. 도는 농경지 내 화장실 설치와 연관된 행정 순서를 간소화하기 위해 관련 부서 간 협의도 종료했다. 이에 준순해 가설구조물 축조 신고 없이 농지 타용도 일시 사용 허가만으로 이동시 화장실 임시 설치가 가능하게 됐다. 설치 트레일러화장실 후에는 공동이용자 중 관리책임자를 지정해 건물물 케어는 물론 청소, 소독, 분뇨 수거 등 계속적인 위생 케어를 해나갈 계획입니다.

강재섭 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이번 산업은 농업인들이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돕고자 마련된 신규 시범사업”이라며 “향후에도 열악한 농작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